반응형 부동산67 [부동산 경매] 2. 부동산 경매 진행 절차 이번에는 부동산 경매 진행 절차를 9단계로 나눠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경매에 대한 대략적 흐름으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step 1. 경매 신청 및 개시 결정채권자가 경매신청을 하면 법원은 개시결정을 하여 매각할 부동산을 압류하고 관할등기소를 통해 등기기록상 경매개시결정 사실을 기입합니다. 그리고 법원은 경매개시결정 정본을 채무자와 소유자에게 송달합니다.. step 2. 배당요구종기 결정·공고 매각할 부동산이 압류되면, 집행법원은 채권자들이 배당요구(권리신고)를 할 수 있는 기간(통상 2~3개월)을 정합니다. 경매개시결정에 따른 압류의 효력이 생긴 때부터 7일 안에 개시결정을 한 취지와 배당요구의 종기를 법원경매공고란 또는 게시판을 통해 알려줍니다. step 3. 매각의 준비법원은 집.. 2024. 6. 28. [부동산 경매] 1. 부동산 경매 용어 정리(배당요구, 권리신고, 공유자 우선매수 등) 경매는 전통적인 재테크의 주요 수단이자 부동산 가치 제고 수단으로, 특히 2024년 한국 경기는 인상된 금리 유지와 가계 경제의 어려움, 물가 상승에 따른 실질 가처분소득 하락으로 인해 가치 있는 매물들이 저가에 경매 시장에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맞춰 부동산 경매 용어를 상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1. 배당요구 배당요구란 다른 채권자에 의하여 개시된 강제집행절차에 참가하여 목적물의 매각대금에서 변제를 받으려는 집행법상의 행위입니다. 이는 다른 채권자의 강제집행절차에 간접적으로 개입하여 자기 채권의 만족을 추구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매각물건 명세서 법원 경매 시 흔히 보이는 용어이느 매각물건 명세서는 법원이 매각대상부동산의 현황을 되도록 정확히 파악하여 그 현황과 권리관계를 공시함으로써 .. 2024. 6. 28. 일본의 뉴욕 부동산 투자 급증 이번 포스팅에서는 월스트리트저널 (WSJ)이 보도한 일본 부동산 투자자들이 미국에 돌아왔다는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의 부동산 투자 개요, 뉴욕 부동산 투자 내용,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 차 일본의 해외 부동산 투자 개요 일본의 뉴욕 부동산 투자 내용 향후 전망 일본의 해외 부동산 투자 개요 일본인들은 1980년대부터 미국 부동산에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당시 일본은 경제적으로 번영하고 있었으며, 미국은 저금리와 저평가된 부동산 가격으로 인해 투자 기회가 많았습니다. 세계 2위의 GDP이자 미국 GDP의 70% 이상 육박하던 전성기의 일본인들은 뉴욕, 로스앤젤레스, 하와이 등의 대도시와 리조트 지역에 상업용과 주거용 부동산을 많이 구입했습니다. 특히 1989년에는 일본의 미쓰비시 자산관리가 뉴.. 2024. 2. 29. 이전 1 ··· 6 7 8 9 다음 반응형